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

함흉발배에 관한 자세 이야기 함이라하면 움푹 들어가다로 가슴을 약간 등쪽으로집어 넣는자세로 본다. 발이라 하면 튀어 나오다라는 의미로 등을 불쑥 튀어 나오게 하는 자세이다. 내가 무술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의 하나로 본다. 쉽게 말해서 가슴과 등의 조화있는 움직임에 의해 실제적인 힘과 속도등이 표출된다고 본다. 함흉과 발배는 축세이기도 하며 함흉은 화경에 발배는 발경에 유리하게 되어 있다. 힘은 등(척추)에서 나온다 라고 하는 것처럼 척추에서 즉 발배에서 나오는 것이다. 또한 발배는 다리의 힘이 등을 통하여 손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도와 주며 특히 하지는 미려에서 상지는 협척(녹노관)에서 조절된다라고 한다. 등에는 방광경과ㅣ 독맥이 흐르므로 인체 오장 육부와도 연결되어 있다고 할수 이다. 그래서 몸의 조화를 이룰수 있다고 보는것이다. .. 2022. 1. 31.
형의권 왕수금노사님은 이러셨다. 왕수금 노사가 일본에 정식으로 중국 무술을 전한 인물이다. 소년 시대에 장점괴선생에게 형의권과 팔괘장을 배웠다고 한다.장점괴선생이 세상을 떠나신 후에는 왕향제 선생에게 대성권의 참장법을 배웠다고 한다. 그후 국민당과 함께 대만으로 이주하여 대중의 진반령 선생에게 정종 태극권을 배우게 된다. 진반령 선생은 남경의 중앙국술관 부관장을 역임한 인물이다. 또한 국민당의 중진으로 각종 권법의 연구서가 매우 많다. 또 왕선생은 중국 도교의 한지파인 일관도의 세번째 간부로 일관도는 1930년장천연이 18대를 계승하고 있다. 이교는 유,불,도를 총합하여 하나로 통한다는 설이 있다.그리고 신의 계시를 중요시 하여 신의를 얻어야한다하여 사교로도 지적되었다. 현세적 욕망을 금지하여 주,색,재물등을 금지하며육과어류를 금식하며.. 2022. 1. 31.
금나술 점혈술에 대한 나의 연구 중국권법계에서 금나와 점혈은 매우 유명하다. 그러나 실제 하는사람은 별로 많지 않은것 같다. 몇몇 사이트에 올라온것을 보면 본인이 고교 시절 관계에서 소책자로 낸것이 중심으로 되어 있는것 같다. 유술계통에서는 잡아서 꺽거나 잡아 넘기는기법과 목을 쥐는 방법등으로 되어 있다. 물론 그외 여러 방법이 있지만 제일 중요한 것은 역시 혈자리를 제대로 아는데에 있다. 점혈과 금나법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타인의 팔을 꺾거나 할때 힘이 있는자,상대의 흐름을 파악하여 상대를 꺾거나 아니면 혈자리를 정확하게ㅡ 사용하여 상대를 제압하는 경우등이 있다.금나는 솔각과는 구별된다. 금나술의 응조왕지나가 현재에도 전해지는데 응조문의 일백팔금나술로 되어 있다.명장 악비에게서 전해진것으로 되어 있으나 역사적으로 믿을만한.. 2022. 1. 31.
팔괘장 내가권 강씨문중에 대한 이야기 현재 강용초사공의 무술을 전수 받은분 중 운남의 고 사국정 노사와 그대공자인 사준걸노사가 잘 전수하고 있는것으로 안다. 강용초 사공은 상해에서 지도하엿으며 그 진전을 이어온 분이 바로 여장부이신 구숙한 노사다. 구노사는 어려서 몸이 허약하여 정수여 노사께 손식,양식 태극권을 지도 받는다. 그후 부종문등에 의해 양식 태극권을 배우게 된다. 상해의 형의 팔괘 명가 원 중앙 국술관 교수인 강용초사공께 배사한다. 강용초 사공은 지도시 매우 엄격하였으나 구노사를 한 가족 처럼 생각했다고 한다. 현재 강씨 문중의 무술을 제대로 전수한이는 별로 없는것으로 본인도 알고 있다. 강씨문중의 특징 가전의 비종권 장점괴,이존의전 형의권, 팔괘장 이경림전 무당검등을 종합하여 이루어진 내공 무술로 되어 있다. 그 사상은 비종권의.. 2022.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