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2 심의파에 대한 총정리 해보기 형의권의 모체로 있는 심의권 그 심의권은 심의파에서 발생한다. 오늘날 심의라고 표현되는 무술로 대씨육합심의권,하남 마씨심의 육합권 여기서 파생된형의권,의권등 여러갈래로 분류 된다. 명말 청초의 사람인 희재가(희용봉)가 하남성 숭산 소림사에 머물면서 승려로 부터 심의 육합권 초기 권법으로 있는 心意把(심의파) 를 전수 받게 된다.그 비보(심의파)는 하남성 마가에 전승되어 심의 육합권 , 산서성 대가에 전승되어 육합심의권으로 각각 독자적으로 발전하였다. 각 문파마다 서로의 차이점도 있으나 공통점도 역시 많은것으로 되어있다. 심의파는 소림사의 극비전 으로 있어 일자상전으로 전수되어 전수자가 극소수로 되어있다. 심의 육합권의 오랜 자료를 보면 : 심의 육합권보는 하남성 진가구에서 발견되었으며 태극권에도 강하게 .. 2022. 1. 31. 중국무술 수련에 관한 나의 생각정리 중국 무술 수련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를 많이 본다.물론 중국 무술의 특징중 한가지는 선생에게 배운것을 각자의 특성에 맞게 변형 내지는 수정할수 있다. 본인이 어려서 부터 여러 무술을 연마 하면서 느낀것은 타 문파의 무술보다 오히려 더 단순하고 간결한것 같다. 그러나 요즈음 중국의 무술을 보면 형도 많고 본인 어렸을때도 없던 용어며 형들이 나타나고 있다 참으로 어떻게 보아야 할지? 장점으로는 여러 상황들을 구체적으로 표현 했으니 발전이라 하는것이 옳은지? 아니면 사족을 만드는것이 아닌지? 그러다 보니 본토의 중국 무술은 형의 장사를 하는건지 모를 정도다. 대만의 경우 반작민노사의 형은 단순하다 그러나 요즈음 진발과 노사의 신가는 화려하다 . 반노사의 형 초기형이고 말년의 형이 요즈음 유행하는 신.. 2022. 1. 31. 천산일전류 유술 알아보기 이류파는 천산삼오랑일전제가 여러 유파를 배운후 당신기(타격기 또는 점혈기법등)와 역수(관절꺾기법)을 전문으로하는 류파를 새로이 만들었다.천산 일전류는 일본 각지역에 전수되었다.하지만 자세한 내용은 외부에 잘 알려지지 않았다.심안류 병법의 항목에도 ,궁성현 도생에도 천산류유술이 지금도 존재한다. 회률번에서 전하는 대동류 합기유술에도 천산류와 같은 형이 많이 존재한다.저의 선생님이셨던 고 좌등 김병위옹은 16대 전인으로 되어있다. 본인도 이기법을 완전히 전수 받지 못했다. 여러 유술의 기법을 종합적으로 하여 선생님께 지도 받았을 뿐이다. 자세한 내막은 본인도 현재 자로를 준비 중이다. 합기 유술 일본의 규슈 지방에서 시작 된다. 사이고 다노모라는 인물에 의해 사이고 시로(사대천왕 - 유도계에서)와 다께다 소.. 2022. 1. 30. 무술에서 척추 사용법 척추는 인체의 가장 큰 대들보라고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그러면 척추의 움직임을 살펴 보자. 척추의 움직임은 굴곡 , 신전 , 회전 , 측굴 , 미끌림 , 회선으로 나눌 수 있다. 내가권에서의 축신 이동작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으면 절대 경을 사용할수 없다고 본다. 축이라 하면 발배의 형태와 유사하다. 이 동작에서 힘을 축적 한다고 볼수 있다. 말로 표현하기 쉽지 않으므로 이해 바람. 신이라 하면 발하는 동작으로 본다. 물론 두동작 모두에서 경을 사용할수 있다. 침신경이 바로 축법이라 할수있다. 형의권에서 주로 사용하는 종경이ㅡ 바로 침신경이다. 축이 되면 상지는 위로 띠울수가 있다. 물론 형의권계에서는 축이면 상지가 앞으로 이동할수 있다. 신이 되면 태극권에서는 상지가 아래로 내려간다. 척추는 바로 .. 2022. 1. 30.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