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도의길19 발경의 잘못된 오해에 대해서 적어봅니다. 발경에 대한 잘못된 상식이나 오해를 가지신분들이 많은거같아 몇자 아래에 적어보려고 합니다. 요즘 발경하면서 많은 관련영상들이 올라오는것을 유튜브나 다른 메채에서 확인해볼 수 있었습니다. 참으로 발경이 무엇인지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것 같다. 진짜 발경은 도덕상 할 수 없다고 한다. 왜 상대방이 그자리에서 피를 토하고 죽기 때문이란다. 부정 불팔보로 세워 놓고 상대 가슴을 미는 것은 발경이라고 하기는.... 발경은 미는것이 아니라 치는것이다. 궁보로 등을 가볍게 편상태로 서게 한 후 밀어 치면 상대 쉽게 넘어 가지 않는다는것을 많은 사람들은 모르는것 같다.... 한예로 여러명이 혼자서 있는상대를 미는데 이것 역시 등을 약간 구부리고 역시 버티면 쉽게 밀려지지 않는다. 흔히 중국 무술에서 사람 띄우는것 역.. 2022. 1. 30. 태극권의 두번째 자세에 대한 나의 고찰 송이 되면 침은 됩니다. 침이란 내려 앉는것 입니다. 축 쳐져 내려 앉게되면 다음 동작이 어려워 지죠 그렇기 때문에 가볍게 이완을 하게 되면 몸이 내려가게 되지요. 어깨와 팔꿈치를 내리라고 하는데 태극권만이 아니라 어떤 운동도 다 마찬가지죠. 어깨를 올리면 바로 상대에 당하게 되어 있을뿐 아니라 팔의 경우 쉬 불러질수 있습니다. 어깨를 내리는 것 바로 송과 침의 한 방법 입니다. 펀치를 칠때도 다리에서 특히 고관절이 바깥으로 외회전하며 몸통으로 밀려 올라갈때 허리는 틀어지게 되어 있습니다. 다리의 힘받쳐 주지도 않았는데 허리만 먼저 튼다든지 하면 다리의 힘을 사용할수 없게 됩니다. 말로만 미려 중정이니 원당이니 하는것 보다실제적으로 자신의 몸을 살펴 보는것이 더 효과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중국사람들은 .. 2022. 1. 30. 팔괘장과 태극권을 대하는 자세 태극권을 송 이라는 한자로 표현된다고 볼수 있겠습니다. 송이라 하면 이완으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이완은 100% 맞는 얘기지만 어떻게 하느냐에 딸려 있습니다. 전신의 이완은 정신이 먼저 이완되어야 합니다. 정신의 이완이라 하면 우리가 흔히 아이고 힘들어 하면 축 처지는 마음이 절대 아닙니다. 정신도 육체도 중간의 자세를 해야 합니다. 중간 정도라 하면 전신의 각 관절이 평안하게 이완된 상태에서 전신을 쫙 펴는것과 비슷합니다.(관절이 이완된 상태라면 관절이 완전히 구부린것도 편것도 아닌 중간 단계로 보시면 됩니다.) 많은 태극권을 하시는분들을 뵈면 정신적인 부분에 있어서 너무 신비롭게 표현 하신분 많이 보았습니다. 물론 많은 부분 인정 합니다. 그러나 처음부터 그렇게 될수 없겠지요. 정신적인 면을 살펴 보.. 2022. 1. 30. 이전 1 2 3 4 5 다음